질병예방연구협의체

연구자주도질병예방연구

연구자주도질병예방연구
기관명 가톨릭대학교 소속  
과제명 국문 - 전립선암의 과잉 치료 최소화를 위한 무의미한 전립선암의 예측 인자 발굴
영문

연구기간

2014. 07. 01 ~ 2015. 06. 30

연구목표

연구 내용 및 방법

  1. 연구개발 내용 1: 기 구축된 K-CaP database에 추가적인 EMR data extraction 및 data cleaning
    • 대상 변수
      • 기 구축된 K-CaP database에 임상적으로 무의미한 전립선암의 위험 인자 분석에 필요한 변수를 추가적으로 extraction 하고 (그림 9), data cleaning 작업을 시행
  2. 연구개발 내용 2: 임상적으로 무의미한 전립선암의 예측 모델 개발
    • 대상 환자
      • 선정 기준: 2001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서울성모병원 EMR 전수를 검토하여 서울 성모병원에서 전립선암으로 진단되어 근치적 전립선 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
    • 결과변수 정의
      • 무의미한 전립선암 (insignificant prostate cancer): 전립선 피막외 침윤이나 정남 침범이 동반되지 않은 국소성 전립선암, Gleason 점수 6점 이하, 주병변 용적 1.3cm3 미만이면서 전체 종양 용적 2.5cm3 미만
      • 생화학적 재발 (biochemical recurrence): 수술 후 1달 이상의 간격을 두고 측정한 혈청 PSA 수치가 0.2ng/ml로 2회 이상 지속적으로 상승한 경우
  3. 연구개발 내용 3: 기존에 개발된 예측 모델과의 정확성 비교
    • 기존에 개발된 예측 모델
      • 기존의 6개의 예측 모델 및 본 연구를 통하여 구축된 예측 모델에 대하여 각각 classical, updated definition, pathologically localized prostate cancer 예측의 정확성을 확인
  4. 연구개발 내용 4: 구축된 모델의 외적 타당도 평가 (external validation)
    • K-Cap databse 사용
    • Bootstrapping을 이용한 external validation
      • 독립적인 자료에 대해 좋은 모형수행력을 보인다면 구축된 예측 모델은 호환성이 있거나 혹은 일반화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
  5. 연구개발 내용 5: 본 모델을 통해 예측된 무의미한 전립선암 환자의 임상적, 종양학적 결과 분석
    • 예측된 무의미한 전립선암 환자의 임상적, 종양학적 결과 분석
      • Kaplan-Meier analysis를 통하여 무의미한 전립선암 환자 중 생화학적 재발율 확인
      • 생화학적 재발 여부에 따른 임상적, 병리학적 인자의 차이 확인
      • 무의미한 전립선암 환자에서 생화학적 재발의 예측 인자 분석

기대성과